맨위로가기

오노노 다카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노노 다카무라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관료, 학자, 시인이다. 802년에 태어나 852년에 사망했으며, 율령 해석서 편찬에 참여할 정도로 법률에 능통했고, 한시와 와카에도 뛰어났다. 견당사 부사로 임명되었으나 파견 문제로 유배를 겪기도 했다. 이후 관직에 복귀하여 산기, 좌대변 등을 역임하며 구교 반열에 올랐다. 지극한 효심과 청렴함으로 존경받았으며, 밤에는 지옥에서 염라대왕을 보좌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그의 작품은 백인일수에도 수록되었고,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53년 사망 - 구다라노 가나와리
    구다라노 가나와리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궁중 화가이자 지방 관리로, 그림 실력으로 어전 벽화 제작 등에 참여했으며 무예에도 능했던 인물로, 개인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화가로 평가받는다.
  • 853년 사망 - 위산영우
    위산 영우는 중국 당나라의 선승이자 위앙종을 창시한 인물로, 백장회해의 제자로서 위산 밀인사에서 만법귀일 사상을 강조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수행을 중시했고, 앙산혜적과 함께 위앙종을 창시하여 선종 발전에 기여했다.
  • 오노씨 - 오노노 고마치
    오노노 고마치는 헤이안 시대의 일본 여류 시인이자 《고금와카집》의 대표 시인 중 한 명으로, 와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그녀의 삶과 관련된 설화와 전설은 후대 문학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오노씨 - 오노노 도후
    오노노 도후는 헤이안 시대의 서예가, 관료, 시인으로 다이고, 스자쿠, 무라카미 천황을 섬기며 궁정에서 활동했고, 와요의 기초를 다졌으며, 《지증대사 시호 칙서》, 《삼체 백씨 시권》 등의 작품과 개구리 일화로 알려져 있다.
  • 802년 출생 - 후지와라노 나가요시
    후지와라노 나가요시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공경으로 후지와라 북가 후유츠구의 장남이며, 여러 천황을 섬겼고, 그의 아들이 후지와라 섭관가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사후에 높은 관직으로 추증되었다.
  • 802년 출생 - 렐파첸
    렐파첸은 9세기 티베트 제국의 군주로서 불교를 옹호하며 사찰 건립과 경전 번역을 지원했지만, 귀족들의 반발과 암살로 인해 티베트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오노노 다카무라
기본 정보
씨명오노
이름오노노 다카무라
다른 이름야소코
야사이쇼
야쿄
시대헤이안 시대 초기
출생엔랴쿠 21년 (802년)
사망닌주 2년 12월 22일 (853년 2월 3일)
관위종3위・참의, 좌대변
씨족오노 씨
아버지오노노 미네모리
형제다카무라
지카기
후지와라노 도시유키의 아내
배우자후지와라노 미모리의 딸
자녀도시미
요시자네
가쓰히라
다다노리
야스히라
도시토모
특기 사항일설에는 오노노 고마치, 오노노 도후의 조부
인물 정보
오노노 다카무라 초상
오노노 다카무라 초상 (슈코 쥿슈에서)
참고 사항
주군사가 천황
준나 천황
닌묘 천황
몬토쿠 천황

2. 약력

802년(엔랴쿠 21년)에 태어났다. 815년(고닌 6년) 무쓰노카미(陸奥守)가 된 아버지 오노노 미네모리를 따라 무쓰국(陸奥国)으로 내려갔다. 무예에 뛰어났지만 수도로 돌아온 뒤에도 학문에 힘쓰지 않았는데, 한시(漢詩)에 뛰어나 시독(侍讀)까지 지낸 미네모리의 아들이 어찌하여 궁마(弓馬)의 사(士)가 되었냐는 사가 천황의 탄식을 듣고 학문에 뜻을 두어 822년(고닌 13년) 문장생시(文章生試)에 급제하였다.

824년(덴초 원년) 순찰탄정(巡察彈正)에 임명되고, 탄정소충(彈正少忠)·대내기(大内記)·구란도(蔵人)를 거쳐 832년(덴초 9년) 종5위하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가 되었다. 830년(덴초 7년) 아버지 미네모리가 사망했는데, 애도와 근신으로 몸을 상할 정도였다. 833년(덴초 10년) 닌묘 천황 즉위 후 쓰네사다 친왕의 동궁학사(東宮學士) 겸 탄정소필(彈正少弼)이 되었다. 같은 해 법령 해석서 《영의해》 편찬에 참여, 서문(序文)을 지었다.

834년(조와 원년) 견당부사로 임명, 836년(조와 3년) 정5위하가 되는 등 관등이 승진했다. 그러나 838년(조와 5년) 견당대사(遣唐大使) 후지와라노 쓰네쓰구와의 갈등으로 승선을 거부, 사가 상황의 노여움을 사 오키로 유배되었다. 840년(조와 7년) 사면되어 수도로 돌아왔고, 이듬해 글재주를 인정받아 정5위하 관위가 복구, 형부소보에 임명되었다.

842년 조와의 변으로 몬토쿠 천황이 황태자가 되자 동궁학사 겸 식부소보가 되었다. 845년(조와 12년) 종4위하 구란도노카미(蔵人頭), 846년(조와 13년) 곤노사소벤(権左中弁)·사소벤(左中弁)을 역임했다. 847년(조와 14년) 산기가 되어 구교(公卿) 반열에 올랐다.

849년(가조 2년) 종4위하가 되었으나, 5월에 병으로 관직을 사임했다. 850년(가조 3년) 몬토쿠 천황 즉위 후 정4위하 관위를 받았다. 852년(닌주 2년) 병든 몸으로 사다이벤(左大弁)에 복직했지만, 병이 깊어 입궐이 어려웠다. 천황이 사자를 보내 병세를 살피고 치료를 위해 돈과 식량을 지급했으며, 12월 와병 중 종3위 서위를 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 12월 22일(양력 2월 3일), 향년 51세. 최종 관위는 산기 사다이벤 종3위였다.

교토시(京都市) 기타구 무라사키노니시고쇼다 정(紫野西御所田町) 시마즈 제작소(島津製作所) 무라사키노 공장(紫野工場) 한모퉁이에 묘소가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 묘소도 인접해 있다.

2. 1. 견당사 파견과 갈등

834년(조와 원년), 오노노 다카무라는 견당부사로 임명되었으나, 견당대사 후지와라노 쓰네쓰구와 배를 둘러싼 갈등으로 승선을 거부했다.[7] 이는 당시 국제 정세와 당나라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외교적 결례로 이어질 수 있는 행동이었다.

838년(조와 5년), 다카무라는 쓰네쓰구의 행동을 "자신의 이득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강요하는 도리에 어긋난 짓"이라고 비판하며, 자신의 병과 노모 봉양을 핑계로 승선을 거부했다.[7] 이는 개인의 소신을 앞세운 행동으로 볼 수 있으나, 국가적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견당사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카무라는 서도요(西道謡)라는 한시를 지어 견당사 사업과 조정을 풍자하였는데, 이 시는 본래 꺼려야 할 표현을 흥에 맡겨 다용한 것이었다.[8] 이로 인해 사가 상황의 분노를 사 오키 섬으로 유배되었다.[8] 이는 표현의 자유를 행사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위험한 행동이었다. 유배 도중에 지은 7언 10운의 한시 적행음은 문장이 아름답고 멋이 우아하며 뜻이 깊다 하여 당시 한시에 통달한 사람으로서 이를 읊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7]

2. 2. 유배와 복귀

838년(조와 5년), 오키로 유배되었다. 유배 도중에 지은 7언 10운의 한시 『적행음』(謫行吟)은 문장이 아름답고 멋이 우아하며 뜻이 깊어 당시 한시에 능통한 사람으로서 이를 읊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7]

840년(조와 7년)에 사면되어 수도로 돌아왔다. 이듬해인 841년(조와 8년)에는 글재주를 인정받아 특별히 본래의 정5위하 관위도 복구되었으며,[9] 형부소보에 임명되었다.

2. 3. 관직 생활

오노노 다카무라는 조와의 변 이후 몬토쿠 천황의 동궁학사, 식부소보, 장인두, 곤노사소벤(権左中弁)을 거쳐 사소벤(左中弁)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10] 847년(조와 14년)에는 산기에 임명되어 구교(公卿) 반열에 올랐다. 의정관(議政官)으로서 탄정대필, 사다이벤(左大弁), 반산성전사장관, 가게유시 장관 등을 겸임하였다.[7] 849년(가조 2년)에는 종4위상에 서임되었으나, 같은 해 5월에 병으로 관직을 사임하였다.[7]

850년 몬토쿠 천황이 즉위하면서 정4위하 관위를 받았다.[7] 852년(닌주 2년)에는 병든 몸으로 사다이벤(左大弁)에 복직했지만, 입궐이 어려울 정도로 병이 깊어졌다.[7] 천황은 여러 번 사자를 보내 병의 원인을 파악하게 하고 치료를 위해 돈과 식량을 지급했으며, 12월에는 와병 중에 저택에서 종3위 서위를 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7]

다음은 오노노 다카무라가 역임한 주요 관직을 정리한 표이다.

시기관직
842년(조와 9년)동궁학사(황태자 미치야스 친왕), 식부소보
845년(조와 12년)장인두
846년(조와 13년)곤노사소벤(権左中弁), 사소벤(左中弁)
847년(조와 14년)산기, 탄정대필
848년(조와 15년)사다이벤(左大弁), 반산성전사장관, 가게유시 장관
852년(닌주 2년)사다이벤(左大弁), 종3위


3. 인물 및 평가

오노노 미네모리의 아들이자 견수사로 활동했던 오노노 이모코의 후손이다. 삼필 중 한 명인 오노노 미치카제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 834년에 견당사로 임명되었으나, 838년에 사신 후지와라노 쓰네쓰구와의 불화로 병을 핑계로 직무를 포기했다. 이 사건으로 사가 천황의 분노를 사 오키 국으로 유배되었다가 2년 후 복귀하여 ''산기''로 승진했다.[7]

신장은 6척 2촌(약 188cm)으로 당시 평균 신장(159.5~163.5cm)을 고려하면 상당한 거구였다.[7]

밤마다 우물을 통해 지옥을 오가며 閻魔大王|염마대왕일본어의 裁判|재판일본어을 도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7] 교토 사타쿠에는 다카무라의 묘라고 전해지는 묘가 있고, 그 근처에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묘가 있는데, 무라사키 시키부가 애욕으로 지옥에 떨어져 악마가 묘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

서예에도 뛰어나 초서와 예서에 능하여 왕희지, 왕헌지 부자에 필적한다고 여겨졌으며, 후세 서예가들의 본보기가 되었다.[7]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7]

관계이름
아버지오노노 미네모리
어머니불명
아내후지와라노 미모리의 딸
자녀 (생모 불명)비고
장남오노노 토시오
차남오노노 요시자네오노노 고마치의 아버지[31]
삼남오노노 카즈츠루[32]다자이후 다이니, 오노노 요시후루, 오노노 미치카제의 아버지
사남오노노 타다노리
오남오노노 야스히라[33][34]무사시 7당의 이노마타당, 요코야마당이 자손을 칭함
육남오노노 토시닌[33]모리모토씨, 하즈카씨[35], 야스후쿠씨가 자손을 칭함



무사시 7당의 이노마타당이나 요코야마당 등은 오노노 타카무라의 자손을 칭하며, "노타로", "오노타" 등으로 불렸다. "야타로", "코야타" 등으로 불린 사람들도 있다. 이노마타당과 요코야마당의 기원에 대해서는 오노노 타카무라의 후예라는 설 외에, 무사시 국조의 후예라는 설도 있다.[36]

3. 1. 학문과 재능

율령 해석서인 《영의해》(令義解) 편찬에 깊이 관여할 정도로 명법도 즉 법률에 밝았고 정무 능력도 뛰어났다.[7] 또한 한시에서는 당나라의 문인 백거이(白居易)와 견줄 만했으며, 헤이안 시대 초기의 3대 칙찬 한시집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힌다. 《경국집(経国集)》, 《부상집(扶桑集)》, 《본조문수(本朝文粋)》, 《화한 낭영집(和漢朗詠集)》에 그의 작품이 실려 전해지고 있다. 가집으로는 『오노노 타카무라집』이 있으나, 내용이 이야기 형식이어서 타카무라 외의 인물이 쓴 와카도 포함되어 있어 『타카무라 이야기』라고도 불린다.

와카에도 뛰어나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8수)을 비롯한 칙찬 와카집에 14수가 수록되었다.[11] 가마쿠라 시대까지 전해졌다고 하나 현재는 흩어져 찾을 수 없는 문집으로 『노상공집(野相公集)』(5권)이 있다.

3. 2. 성품과 일화

오노노 다카무라는 효성이 지극하고 금전에 얽매이지 않는 성품이었다. 자신의 봉록을 친구들에게 나눠줄 정도로 재물에 욕심이 없었다고 한다.[7]

밤마다 우물을 통해 지옥을 오가며 염라대왕의 재판을 보좌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교토시 사가의 훗쇼사(福生寺)와 교토 히가시의 로쿠도진고사(六道珍皇寺)에 그가 드나들었다고 하는 우물이 있었다고 하며, 훗쇼사는 메이지 시대에 폐사되었고, 로쿠도진고사의 염라대왕당에는 다카무라의 작품이라 전하는 염라대왕상과 다카무라의 목상이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에는 염라청에 불려간 후지와라노 요시미(藤原良相)가 다카무라의 도움으로 살아 돌아왔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우지슈이 이야기에는 사가 천황과의 기지와 관련된 일화가 전해진다. 사가 천황이 대궐에 쓰여 있던 '무악선(無悪善)'이라는 낙서를 다카무라에게 읽게 하자, 다카무라는 "사가(悪) 나쿠바(無くば) 요켄(善けん)"(사가 천황이 없으면 좋겠다)라고 읽었다. 이는 '무악'을 '사가나시'(성질이 나쁜)로 해석하여 사가 천황을 비꼰 것이었다. 천황이 또 다른 시험으로 "子(자)"라는 글자를 열두 번 써서 읽어보라고 하자, 다카무라는 "고양이 새끼의 새끼고양이, 사자 새끼의 새끼 사자(猫の子の子猫、獅子の子の子獅子)"라고 읽어 위기를 모면했다.

또한, 백거이의 시를 고쳐 쓴 사가 천황의 의도를 간파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당시 일본에는 《백씨문집》(白氏文集)이 한 권밖에 없었는데, 천황이 백거이의 시 한 글자를 바꿔 다카무라에게 보이자, 다카무라는 그 한 글자만 빼고 답했다고 한다.

『효자의 달』(월오카 요시토시 『달의 백 가지 모습』) 부모를 위해 땔나무를 모으는 오노노 타카무라

3. 3. 비판적 시각

오노노 다카무라가 견당사 승선을 거부한 사건은 개인의 신념을 중시하여 국가적 임무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은 2023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 협력보다는 개인의 신념을 우선시하여 갈등을 유발하는 측면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비록 오노노 다카무라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인물은 아니지만, 진보적 가치를 추구했던 인물로서 그의 행동과 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4. 작품

교토시히가시야마구에 있는 육도진황사는 오노노 다카무라의 작품이다.

4. 1. 한시

『경국집(経国集)』, 『부상집(扶桑集)』, 『본조문취(本朝文粋)』, 『화한낭영집(和漢朗詠集)』 등에 작품이 실려 전해진다. 견당사를 풍자하고 조정을 비방하는 내용의 한시 『서도요(西道謡)』[4]를 지어 사가 천황(嵯峨天皇)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다. 유배 도중에 지은 7언 10운의 한시 『적행음(謫行吟)』[4]은 문장이 아름답고 멋이 우아하며 뜻이 깊다 하여 당시 한시에 통달한 사람으로서 이를 읊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

4. 2. 와카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에 여덟 수의 와카(和歌)가 실려 있다.[4] 그 중 한 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의 『오구라 백인일수(小倉百人一首)』 11번으로 수록되었다.[1][2][3]

일본어 원문로마자 표기한국어 번역
わたの原|와타노하라일본어|넓은 바다의 80개 도서를 다녀와서 그 사람에게 전해주오. 낚시하는 배.


  • わた노하라 팔십 섬을 건너 배를 저어 나가니 사람들에게 전해다오 어부의 낚싯배 (『백인일수』 11번)
  • 흐느끼는 눈물이 비가 되어 내린다면, 건너는 강물의 물이 불어나 돌아올 수 있을 텐데 (『고금와카집』)

5. 전설

오노노 다카무라는 밤마다 우물을 통해 지옥을 오가며 염라대왕의 재판을 보좌하였다고 한다. 이 우물은 교토 사가의 훗쇼사(福生寺)와 교토 히가시의 로쿠도진고사(六道珍皇寺)에 있었다고 하며, 두 절은 각기 삶과 죽음의 육도(六道)를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훗쇼사는 메이지 시대에 폐사되었으며, 로쿠도진고사의 염라대왕당에는 다카무라의 작품이라 전하는 염라대왕상과 다카무라의 목상이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20]

교토시 기타구에 있는 다카무라의 것으로 전하는 무덤 옆에 무라사키 시키부의 것이라 전하는 무덤은, 인간의 애욕을 소설로 그려냈다는 죄목으로 지옥에 떨어진 시키부를 다카무라가 염마대왕에게 소개시켜 주었다는 전설에 따른 것이다.[24]

오노노 다카무라 묘소・무라사키 시키부 묘소


가가・마에다 번의 가신으로, 오노노 다카무라의 자손이라고 칭하는 요코야마 마사카즈가 오노노 다카무라의 묘가 황폐해진 것을 안타까워하여 묘역에 석책을 세우고 묘비를 세울때 이 비석을 세웠다고 한다. 이 묘역의 토지 소유자는 다이토쿠지의 호슌인이다. 묘를 지키고 있는 것은 "무라사키 시키부 및 오노노 쇼코 현창회"를 주최하고 있는 이치카와 케이이치이다.[37]

곤자쿠 이야기집(今昔物語集)』의 「오노노 다카무라가 정(情)에 기대어 니시산조 대신(西三条大臣)을 도운 이야기」에는, 병사하여 염마청(閻魔廳) 앞에 불려간 후지와라노 요시미(藤原良相)가 다카무라의 주선 덕분에 소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금 이야기집]』에도

6. 후대의 문학 작품


  • 곤자쿠 이야기집(今昔物語集)》에는 후지와라노 요시미(藤原良相)가 다카무라의 주선으로 소생했다는 이야기가 실려있다.
  • 우지슈이 이야기(宇治拾遺物語)》에는 사가 천황이 대궐에 쓰인 '무악선(無悪善)'이라는 낙서를 다카무라에게 읽게 하자, '사가(悪) 나쿠바(無くば) 요켄(善けん)'(사가 천황이 없어졌으면 좋겠네)이라고 읽은 일화가 있다. 또, 사가 천황이 낸 "子"자 12개를 쓰는 수수께끼를 "고양이 새끼의 새끼고양이, 사자 새끼의 새끼 사자(猫の子の子猫、獅子の子の子獅子)"라고 풀어낸 이야기도 전해진다.
  • 이복 여동생과의 사랑을 그린 《다카무라 이야기(篁物語)》가 있지만, 이는 허구이다.

참조

[1] 논문 Suzuki et al. 2009
[2] 논문 McMillan 2010
[3] 논문 McMillan 2010
[4] 논문 Katagiri 2009
[5] 웹사이트 Kokin Wakashū Database entry on poem 829 http://warbler.ryu.t[...] 2007
[6] 문서 猪俣氏、人見氏の遠祖
[7] 문서 日本文徳天皇実録 null
[8] 문서 続日本後紀 null
[9] 문서 続日本後紀 null
[10] 문서 北山抄
[11] 문서 勅撰作者部類
[12] 웹사이트 六道珍皇寺と小野篁の不思議な伝説 http://www.rokudou.j[...] 六道珍皇寺 2017-07-29
[13] 웹사이트 【江談抄】 https://kokusho.nijl[...] 国文学研究資料館 2017-08-01
[14] 문서 金剛山矢田寺の中興の祖。滿米の前は滿慶(満慶)を名乗っていたとされる。
[15] 웹사이트 元亨釈書 30巻. [6]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7-08-01
[16] 웹사이트 大蔵会関連展示 御仏の救済―地獄と浄土― http://www.kyohaku.g[...] 京都国立博物館 2017-08-05
[17] 웹사이트 絹本著色矢田地蔵縁起 https://www.city.yam[...] 大和郡山市役所 2017-08-05
[18] 웹사이트 矢田地蔵縁起 http://www.narahaku.[...] 奈良国立博物館 2017-08-05
[19] 웹사이트 矢田地蔵縁起絵巻 https://bunka.nii.ac[...] 文化庁 2017-08-05
[20] 웹사이트 矢田寺(矢田地蔵尊)(駒札) https://kanko.city.k[...] 京都観光Navi(京都市産業観光局観光MICE推進室) 2017-07-29
[21] 웹사이트 請求記号:ル04_01345_0008 https://archive.wul.[...] 早稲田大学 2023-08-18
[22] 웹사이트 生六道解説画像 https://www.nichibun[...] 国際日本文化センター 2023-08-18
[23] 문서 高藤本人は知らなかったが、その衣服に百鬼夜行を退ける御利益のある尊勝仏頂|尊勝陀羅尼を記した護符が縫い込んであることを見越した篁が、高藤に対して「謹んでお遇わせいたしました」と慇懃無礼に嘯く。この行為が高藤蘇生譚につながる。
[24] 문서 「悪なからば善からん」とも。
[25]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 宇治拾遺物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7-08-16
[26] 웹사이트 【江談抄】 https://kokusho.nijl[...] 国文学研究資料館 2017-08-16
[27] 웹사이트 【江談抄】 https://kokusho.nijl[...] 国文学研究資料館 2017-08-16
[28] 웹사이트 【江談抄】 https://kokusho.nijl[...] 国文学研究資料館 2017-08-16
[29] 웹사이트 丸森町 大張の史跡・名所の紹介 http://www.town.maru[...] 丸森町
[30] 문서 公卿補任
[31] 문서 尊卑分脈
[32] 문서 小野氏系図
[33] 문서 小野氏系図
[34] 문서 武蔵七党系図
[35] 문서 姓氏家系大辞典
[36] 서적 1963: 505,6457
[37] 서적 紫式部伝 —その生涯と「源氏物語」— 株式会社法藏館 2007-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